• 이전이전
  • 다음다음
  • [제26집]은행동이야기
  • 어남동(於南洞) 느내미의 산제, 거리제
  • 어남동(於南洞) 느내미의 산제, 거리제

    (1) 조사지 개관

    어남동은 하소동을 구계로 하여 서쪽에 위치해 있으며, 북으로 금동과 정생동과 경계를 이루고 있으면서 남쪽으로는 금산군 복수면과 시계(市界)를 긋는 중구 최남단에 자리한 두메 지역이다. 공주로부터 길게 늘어져 붙여 있는 마을이라 해서 어남동이라 부른다. 느나미, 느내미, 늘남이로도 불리우는데, 느나미를 한역화하여 어남(於南), 만남(晩南)이라 하였다.

    백제 때는 우술군(雨述郡)의 지역이었으며, 신라 때는 비풍군(比豊郡)에 속했다.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공주목에 속한 지역으로 고종 32년(1895)에는 회덕군 산내면 도리산리, 어남리 등으로 있다가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대전군 산내면 어남리로 통합하여 편입되었다. 그 뒤 1935년 대전부의 설치로 대덕군 산내면 어남리로 되었으며, 1989년 1월 1일 대전직할시 중구 어남동이 되었다. 현재 행정동은 중구 산서동이다.

    어남동의 자연마을은 도리미, 보무골(寶武谷), 작은팽나무골, 재실말, 점터(즘터), 큰팽나무골, 느내미 등이 있다. 도리미는 보무골 북서쪽 산 너머에 있는 마을로 도리미산 밑에 있다. 높이 355m의 도리산(道里山) 아래에 있어 도리산 또는 도리뫼라고도 부른다. 보무골은 느내미 북쪽, 벌밭골 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작은팽나무골은 큰팽나무골 서쪽으로 난 골짜기에 위치한 마을이다. 큰팽나무골과 더불어 골짜기에 팽나무(느릅나무과에 딸린 갈잎 큰 키 나무)가 많아 붙여진 이름이다. 큰팽나무골은 도리미에서 정생천을 따라 남쪽으로 들어오다 서쪽으로 길게 난 골짜기에 위치한 마을이다. 재실말은 웃말에서 귀후재(歸厚齎) 근처에 있는 마을이다. 귀후재가 있어서 재실이 있는 마을이라 하여 그렇게 부른다. 점터는 즘터라고도 하는데, 도리미에서 천(川)을 따라 남쪽으로 산서초등학교(어남동분교) 못미쳐 있는 마을이다. 옛날에 옹기를 굽던 곳이라 한다. 느내미에는 도로가 나기 전에 약 10여호가 거주하였으나, 현재는 7가구가 거주하고 있다. 예전에는 주로 금산의 마전장을 이용하였으나, 근래에는 대전장인자 농수산물시장을 이용한다.

    (2) 제의 실태

    ①느내미의 산제

    느내미 마을에서는 과거 마을에 호랑이 피해가 심해서 이를 막고, 복을 불러들이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산제를 지내기 시작하였다고 전한다. 산제는 재실말, 즘터, 평지골이 합동으로 해마다 음력 정월 초이튿날 자정을 기해서 지낸다.

    산제당은 느내미와 재실말 사이의 산 중턱의 소나무 숲에서 지내는데, 그 곳에는 소나무 두 그루가 서 있었으나 얼마 전에 자연사하여 지금은 나무 아래의 제단을 신당으로 이용한다. 제단의 좌항은 정동(正東)이며, 크기는 가로 2m, 세로 90cm로, 둘레에는 돌이 둘러져 있다.

    제를 앞두고 섣달 그믐날 어른들이 생기복덕을 보아 운이 닿는 사람중에서 깨끗한 사람으로 유사, 축관, 짐꾼을 정하는데, 지목되면 곧바로 목욕제계를 하고 산에 올라가서 제장을 청소하고 황토를 그 주위에 둘러놓는다. 이때 금줄은 치지 않는다. 유사집에는 부정한 사람의 출입을 막기 위해서 금줄을 치고 황토를 뿌리는데, 축관과 짐꾼의 집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금줄은 원새끼를 꼬아 휜종이를 사이에 끼워 두르고, 황토는 대문 앞에 양쪽으로 세 무더기씩 모두 여섯 무더기를 놓는다. 일단 대문 앞에 금줄이 드리워져 있으면 설령 설에 세배를 하러 왔다하더라도 그 집에 들어가지 않고 되돌아간다. 특히 외지에서 온 사람이라면 더욱 그러하다.

    유사와 제관, 짐꾼은 제를 지내기 전까지는 여러 가지 금기를 지켜야 한다. 우선 비린 음식은 먹지 않아야 하는데, 정월 초하룻날은 명절이므로, 이날 아침 제사까지만 비린 음식 먹는 것을 허용한다. 그 이후부터는 바깥출입을 삼가고, 집안에서 근신하며 생활한다. 이때 유사 일행에게는 동네에서 친지가 사망하였다거나 이웃이 아이를 낳았다는 소식도 전하지 않는데, 만약 그러한 소리를 들었다면 부정하다 하여 유사를 바꾼다. 또한 제를 앞두고 마을에 초상이 나거나 출산을 하였다면 날을 미루어 다시 좋은 날을 잡는다. 또 유사는 마을 둠벙에 가서 하루에 한 번씩 찬물로 목욕을 해야 했는데, 지금은 집에서 하고 있다.

    마을에는 산제를 위한 계가 조직되어 있었다. 이 산제계는 11월 보름날 개최하는데, 이 날 제에 관한 전반적인 준비를 상의하고, 제비도 추렴하였는데, 언제인가 산제계돈을 가지고 도망간 일이 계기가 되어 계가 무산되었다. 지금도 11월 보름날에 모여서 성의껏 추렴하였는데, 이것과 더불어 1990년대 초반부터는 마을에 들어온 채석장과 레미콘회사로부터 일정액을 지원받아 제비에 보태고 있다. 제비는 약 40~50만원이 소요된다.

    장은 섣달 그믐날 선출된 유사가 혼자서 장을 보아 온다. 교통이 좋지 않던 시절에는 금산의 마전장을 이용하였으나 지금은 대전시내의 장을 이용하고 있다. 장에 오갈 때 특별히 지켜야 하는 금기는 없으나 스스로 알아서 제물의 가격을 깎거나 부정한 것을 보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만약 부정한 것을 보았다면 유사를 다시 선출한다. 제물은 유사부인이 돼지머리, 밀주, 백설기, 밥, 탕, 포, 세 가지 나물, 삼색실과 등을 준비한다. 제기는 사기제품으로 따로 마련되어 있어 유사가 보관 하였다가 이듬해 유사에게 넘겨준다.

    당일 어두워져서 미리 마을 청년들이 산제당에 오르는 입구와 거리제장에 화톳불을 밝혀 놓는다. 밤 9시경이 되면 유사일행이 제물을 지고 앞서면 마을 사람들은 풍장을 치면서 뒤따라 화톳불을 피워 놓은 곳으로 간다. 그곳부터 산제당까지는 유사일행만이 올라가고 나머지 사람들은 그곳에서 계속 풍장을 치면서 산제가 끝나기를 기다린다.

    제장에 도착한 유사일행은 먼저 제단 위에 흰종이를 깔고 제물을 진설한 후 술을 따르고 절을 한다. 그리고 축을 읽는다. 그런 후 다시 절을 하고 소지를 올리는데, 소지는 산신소지를 먼저 올리고, 이어 대주이름을 쓴 대주소지를 올린다. 마을 소지는 개별소지를 올린 후 여러 장을 묶어서 올린다. 제를 올린 후에도 곧바로 하산하는 것이 아니라 새벽에 닭이 울어야 내려왔다. 그러나 지금은 밤 9시경에 올라가서 제를 지내고는 곧바로 내려온다.

    이렇게 산제를 지낸 후에는 하산하여 거리제를 지낸다. 산제에 사용한 제물을 그대로 거리제에 사용하므로 해물리기나 음복 등의 행위를 하지 않고 그대로 철상하여 하산한다. 하산한 유사일행은 밑에서 기다리던 마을 사람들과 함께 거리제장으로 자리를 옮긴다.

    ② 느내미의 거리제

    거리제는 재실말 앞의 신작로 한쪽에서 지내므로, 특별한 표식이 있는 것은 아니다. 현재 버스 정류장 근처의 약간 두드러진 곳에서 지낸다. 먼저 제물을 흰종이를 깔고 진설하는데, 백설기시루를 빼고 수수팥떡을 다시 찌어 올릴뿐 나머지 제물은 산제 제물을 그대로 이용한다. 수수팥떡은 산제를 지내기 위해 올라갈 때 같이 가지고 오르나 산제당까지 가져가지 못하고 중간에 평평한 곳에 내려놓고 올라갔다가 내려올 때 가지고 내려온다. 제사 절차는 산제와 같고 소지를 올린 후 해물리기를 하는 것만이 다르다. 제물을 떼어서 사방에 던지는데, 이때 특별히 하는 말은 없다. 그런 후 참석한 사람들이 음복을 한다. 제상에 놓여진 음식은 정결한 사람만이 먹을 수 있으므로 유사, 촉관, 짐꾼만이 나누어 먹는다. 때문에 마을 사람을 위해서는 별도의 음식을 따로 마련해서 음복하게 한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는 그러한 금기를 지키지 않고 모두 어울려 함께 먹는다.

    (3) 그 밖의 현황

    비가 오지 않으면 답답한 마음에서 마을 여자들이 ‘키나 까부르자’라는 말을 한다. 그 날 저녁에 해가 지면 여자들은 키를 들고 마을 샘으로 나온다. 그린 후 키에 물을 담아서 동서남북으로 뿌리는데, 요란하게 하지 않으며, 각자 비가 오기만을 기원한다.

    <대전직할시 향토사료관, 1993. pp.74~75./대전직할시시사편찬위원회, 1994.pp.500~503./길병무(남, 80세, T.285-8908, 유사경험이 있음)/김인관(남, 60세, T.285-6619, 즘터에 살고 계시며 현재 축문을 보관하고 있음)/심봉남(여, 70세, T.285-8908, 유사 경험이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