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이전
  • 다음다음
  • [제26집]은행동이야기
  • 침산동(砧山洞) 방아모의 산신제, 점말의 거리제
  • 침산동(砧山洞) 방아모의 산신제, 점말의 거리제

    (1) 조사지 개관

    침산동은 동쪽으로 보문산 자락에 위치한 동으로, 동쪽으로 무수동, 목달동과 접하고, 북쪽으로 사정동이 있으며, 남쪽으로 정생동, 금산군 복수면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서쪽으로는 언고개를 주로 하여 안영동과 접하는 방아미 산아래 지역에 소재한다.

    백제 때는 우술군(雨述郡)의 지역이었으며, 신라 때는 비풍군(比豊郡)에 속하고,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공주목에 소속되었다. 고종 32년(1895)에는 회덕군 산내면 침산리, 유동리로 있다가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대전군 산내면 침산리로 통합되었다. 1935년 대전부의 설치로 대덕군 산내면 침산리로 편입되었으며, 1989년 1월 1일 대전직할시 중구 침산동이 되었다. 현재 행정동은 산서동이다.

    침산동의 자연마을은 점말(店村, 전말), 방아미(방아뫼, 방아모), 놋점골 등이 있다. 점말은 방아미 북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옛날에 옹기점이 있었다고 하며, 전말이라고도 부른다. 방아미는 방아뫼, 방아모라고도 부르는데, 침산교를 남서쪽으로 지나 서북쪽 산밑으로 형성된 마을이다. 뒷산(방아산)의 모양이 방화(芳花, 芳下)로 되어 있는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 한다. 또 물레방아가 많았다고 해서 방아모라 하였다고도 한다. 마을 사람들은 주로 벼농사에 종사하며, 호구수는 약 45호 정도가 된다. 마을에는 충주 박씨가 16대째 거주하고 있으며, 동래 정씨가 14대째 거주하고 있다. 예전에는 이 두 성씨가 많았으나, 근래에는 각성받이이다. 시장과 병원은 대전 시내를 이용하고 있으며, 학교는 산서초등학교를 다닌다. 놋점골은 방아미 남서쪽 큰 내 건너에 있는 마을로, 금산군 복수면 지량리와 접해 있다. 조선시대 때 놋점 골은 방아미 남서쪽 큰 내 건너에 있는 마을로, 금산군 복수면 지량리와 접해 있다. 조선시대 때 놋쇠그릇을 파는 상점이 있었으며, 놋쇠로 기구를 만드는 사람들이 살았다고 한다. 놋정골 또는 유동(鍮洞)이라고도 부른다. 현재 놋점 골에는 1가구만 가주하고 있다.

    (2) 제의 실태

    ① 방아모의 산신제

    동네의 무사안녕을 위해서 음력 섣달 그믐날 밤에 산신제를 지내고 이다. 그러나 이 제의를 언제부터 지내왔는지는 알지 못한다. 다만 제의를 잘못 지내면 호랑이가 내려와서 소, 돼지 등을 물어갔기에 정성을 기울여야 한다고 전할뿐이다.

    산신제 지내는 제당은 방아산의 약수사와 산의 중턱의 중간 정도에 당집의 형태로 위치해 있다. 제당은 마을 사람들이 직접 만들었다고 한다.

    제를 지내려면 일주일 전에 주민들이 모두 나와 마을 청소를 하고, 유사는 제장 청소를 한다. 그런 후 제장에는 유사가 금줄을 꼬아서 걸어둔다. 금줄에는 한지를 드문드문 끼워두는데, 이는 부정을 막는 의미에서 삽입하는 것이라고 한다. 이렇게 마련된 금줄을 둘러 놓 으면 부정한 사람이 접근을 하지 않으며 다른 부정한 것도 접근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와 더불어 황토도 유사가 방아 산에서 퍼 다가 피운다. 황토는 산제당의 입구 양쪽에 세 무더기씩 모두 여섯 무더기를 놓는다. 금줄과 황토는 제의가 끝나면 곧바로 제거한다.

    음력 동짓달 보름달에 개최되는 동계에서 제를 주관할 유사 한명을 선출한다. 유사는 생기복덕을 보아 운이 닿는 사람 주에서 부정하지 않은 사람으로 가려서 선출한다. 일단 유사로 선출되면 거부하지 않아야 하며, 일정한 금기를 준수해야 한다. 우선은 술과 담배를 피하고 유사 내외는 각방을 사용한다. 그런 후 부정 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바깥출입을 금하고 집안에서 근신한다. 또한 제 지내기 일주일 전부터 찬물로 목욕재계를 하고 기도를 드린다. 이와 더불어 마을 사람들도 가급적 부정한 일을 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제비는 동계기금으로 충당한다. 동계기금은 예전에 동네 전답 소출의 일부를 꺾어서 충당하였으나 지금은 해마다 일정액을 거두어서 마련한다.

    제물은 유사가 직접 장에 가서 보아오는데, 장에 오갈 때 특별히 지켜야 하는 금기는 없다. 제물은 유사내외가 마련하는데, 양념은 하지만 맛을 보거나 고춧가루 등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제물은 모두 유사집에서 마련하여 제당으로 나른다. 삼색실과, 소머리, 떡, 술, 포, 메, 탕, 나물, 정한수, 불밝이쌀 등을 마련한다. 떡은 백설기(한 되 서 흡 분량)를 시루채 올리며, 술은 유사가 일주일 전에 담가 두었다가 사용하였으나 지금은 막걸리를 사다가 쓴다. 탕은 소고기탕, 명태탕, 두부탕으로 삼탕을 사용하며, 나물은 무, 고사리, 콩나물 등으로 세 가지를 한다. 제기는 예전에 쓰던 것(사기제품)을 제당에서 보관해두고 계속해서 사용한다.

    당리 그믐날 자정에 임박하면 제장으로 향한다. 제당에 오르면 정월 초하루 새벽이 되며, 제는 닭이 울고 나서야 시작한다. 제의는 유교식으로 거행되는데, 먼저 제당 앞의 바우(제당) 위에 자리를 깔고 제물을 진설한다. 그런 후 술을 올리고, 재배를 한다. 이어 술을 비우고 삼배를 하고 나서 소지를 올린다. 소지는 산신소지-만동소지-개별소지의 순으로 올린다. 소지 올리기 전에 예전에는 축을 읽었으나 지금은 읽지 않고 있다. 제를 마치면 곧바로 상을 치우지 않고 그냥 하산한다. 그런 후 사흘을 지내고 산에 올라가서 제물을 철상하여 가지고 온다. 그 남은 제물로는 음복을 하는데, 스스로 부정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먹지 않는다. 먹고 남은 것은 땅속에 묻어야지 함부로 버리지 않는다.

    ② 점말의 거리제

    점말과 황새말이 합동으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장승에서 거리제를 지냈다. 이 장승은 선돌형 장승으로, 본래 장승이 있던 자리에는 수백 년 묵은 고목이 서 있었다. 지금으로부터 60여 년 전에 이 나무가 쓰러지자 그 자리에 장승을 세우고 미루나무도 한 그루 심었다. 이 미루나무도 10여 년 전에 까닭 없이 말라 죽었다.

    장승이 서 있는 위치가 예전에는 이 마을의 입구였는데, 유등천 건너편 산밑으로 도로가 나면서 잊혀 진 길이 되었고 이후로 농로로만 이용되고 있다. 지금은 거리제를 지내지 않을 뿐 아니라, 남부순환도로 아래쪽 논 가운데에 장승이 방치된 채 쓸쓸히 서 있어 시절의 무상함을 더하고 있다.

    장승은 높이 110cm, 밑둘레 90cm, 중간둘레 97cm, 윗둘레 90cm로, 재질은 화강암이다.

    제관은 정초에 회의를 열어 부정이 없고 깨끗한 사람으로 선정했다. 유사로 정해지면 그 날로 대문에 금줄을 치고 황토를 뿌려 부정한 사람의 출입을 금했다. 그리고 삼일 전부터 매일 마을 앞을 흐르는 유등천에 나가 냇물에서 목욕재계를 하며 정성을 드렸다. 금기는 제관만이 지키는 것이 아니라 마을 사람들이 모두 지켰다. 비린 음식을 먹지 않고, 궂은 일과 부정한 일을 가렸다. 뿐만 아니라 살생을 금하고, 피를 보아서는 안 되기에 힘든 일은 아예 하지도 않았으며, 산에 나무를 하러 가지도 않을 정도이다.

    또한 거리제를 잘 지내면 한 해가 무사하지만, 잘못 지내게 되면 제관이 해를 입거나 마을에 좋지 않은 일이 생겨 제관을 맡지 않으려고 서로 미루었다고 한다. 이렇게 되자 생기복덕을 가려 제관을 뽑던 것이 삽짝돌림으로 집집마다 돌아가면서 제관을 맡게 되었다.

    거리제에 드는 비용은 정초에 집집마다 걸립을 돌아 쌀이나 돈을 거두었다. 제물은 유사가 직접 장에 가서 사며, 물건 값을 깎지 않았다. 혹시 부정을 보게 될 것을 피하기 위해 아침 일찍 시장에 갔다. 제물은 삼색실과, 명태포, 백설기, 나물, 술 등을 준비했다.

    음력 정월 열 나흗날 해가 떨어지고 난 아홉시쯤에 제를 지냈다. 거리제에는 부정하지 않은 남자면 노소를 불문하고 모두 참석할 수 있었다,

    제의 절차는 일반적인 거리제의 절차와 비슷하다. 소지는 거리신을 위한 소지를 먼저 올리고 대주소지를 올렸다. 거리제가 끝나면 유사의 집에 모여 음복을 하고 풍장을 치며 밤이 늦도록 신명나는 놀이판을 벌였다. 부정한 사람은 음복하지 않았다.

    <중구지, 1998, 947 ~ 949>

    (3) 그 밖의 현황

    이외에도 마을의 안녕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제의를 지냈다. 우선 다른 마을에 전염병이 돈다는 소문이 나면, 옆 마을에 가서 디딜방아를 훔쳐왔다. 훔쳐온 방아는 마을 입구에 거꾸로 세워 놓고 여자의 속곳을 씌워두고, 팥죽을 쑤어서 뿌린다. 그리고 그 앞에 서서 우리 마을에는 전염병이 들어오지 않게 해달 라고 빈다. 이렇게 뱅이를 하면 이튿날 옆마을의 주민이 와서 방아를 되찾아 갔다고 한다.

    <대전 직할시향토사료관, 1993. pp.56~58./국립민속박물관, 1991. p.237./대전직할시사편찬위원회, 1994. pp.510~516./대전광역시 중구, 1998. pp.947~949. 오인벽(남, 84세, 1997년 현재)/권옹팔(남, 78세, 1997년 현재, 노인회장, T. 285-7795)/정영진(남, 81세, 1997년 현재, T.285-6460)/이우석(남, 80세, 1997년 현재, T, 285-1125)>

    ?